오디오 마스터링이란 디저털로 작업된 파일을
마스터링에서 많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한다. 변질시키는데 목적이 있지 않다.
레퍼런스와 비교하여 원본에서 부족한 부분들을 해결해주는 방법이 좋은 것 같다.
마스터링에서 엔지니어의 기술 및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1990 년대 초에 출시 된 초기의 오디오 CD 마스터링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로 SCSI CD-R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Apple OS9 까지의 환경에서 개발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 마스터링 작업 후 오디오 CD로 만드는데 사용되었다. 넘버링, 네이밍 등의 기능과 뛰어난 PowerDither기능과 함께 당시 고품질의 버닝이 가능했던 도구 하나였다. [15]
전세계적으로 사용된 최고의 마스터링 솔루션으로 컴퓨터의 속도가 100MHz도 안되던 시절에 DSP Processor칩으로 무장한 오디오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편집과 오디오 프로세싱이 가능했던 시스템 중 하나이다. 특히 당시 각 나라마다 과거의 음원을 복원하는 사업에 Sonic Solutions No-Noise (크랙 클 제거 및 클릭 제거 기능 포함)옵션 기능을 갖춘 마스터링 스튜디오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많은 결과물은 지금의 우리가 듣는 레퍼선스 음원이 되었다.
최적의 전송 품질을 위한 24bit A/D 컨버팅, LP, CD 마스터링 기능 등이 있다.
Protools, Cubase, Logic등의 DAW를 통해 다양한 플러그인을 활요한 마스터링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오디오 마스터링 후 DDP, CD 마스터링을 위해서는 Squaia, Pyramix, SADiE, Sonic Studio, Hofa Mastering Tool 등의 최종 미디어 제작까지 가능한 툴이 필요하다.
The First Online Mastering With Soul - mastering.studio
Looking for the best sounding online mastering? Upload your track, select a style, and get professional results. Fast. No subscription needed.
www.mastering.studio
그래미 수상 엔지니어들에 의한 온라인 오디어 마스터링 I eMstered
그래미 수상 엔지니어들에 의해 만들어진 온라인 음악 및 오디오 마스터링. 클릭 한 번으로 즉석에서 당신의 오디오를 마스터 하세요. 지금 무료로 감상하세요.
eMastered.com
Online Audio Mastering Software - Try Mastering Free | LANDR
Get pro sound in seconds. Try LANDR’s online audio & music mastering for free. Go from mixing to mastering instantly. Drag & drop your mix and listen to a preview.
www.landr.com
가능한 음향적 완성도가 높은 음원을 선정한다.
mp3보다는 wav 또는 CD의 음원을 청취하는 것이 좋다.
중이의 댐핑기능이 약화되고 증폭기능이 증가되는 생리적 상태에서 모든 소리의 음량을 고르게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이의 댐핑기능과 증폭 기능 없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모든 소리의 음량을 고르게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중의의 댐핑기능을 통해 변질된 사운드의 상태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Q : 마스터링 때 꼭 EQing을 해야 하는가?
A : 꼭 그렇지는 않지만 필자의 경험으로는 그런 경우가 거의 없었다. 아마도 믹스엔지니어의 믹싱의 음향적 기준이 음악적인 부분에 대하여 많은 관여를 하게 되어서 그런것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베이스기타의 저음 볼륨과 저음의 커브 또는 부피를 듣는다. 사운드의 두께를 가늠하는 과정이다.
하이패스필터로 불필요한 저음을 제어하여 저음으로 인한 마스킹 현상을 제어하여 선명도를 확보하는데 레퍼런스 음향과 비슷하게 제어하면 된다.
1. 레퍼런스 음악의 저음의 중심 주파수를 찾는다. 이경우 100Hz를 기준으로 위, 아래로 청음하며 주파수를 찾는다.
2. 작업할 음원에서 동일한 주파수의 음량을 확인하고 부족하면 올리고 많으면 줄인다.
마스터링할 때 바로 정답을 마추려고 하지 않기 바란다.
고음의 악기들 예를들어 하이햇, 심벌, 리드 악기의 고음 등의 밝기 또는 고음의 크기를 듣는다.
사운드의 밝기를 가늠하는 과정이다.
사람은 음색 또는 음질의 한 측면 인 밝기를 통해 다양한 악기와 음성을 구별 할 수 있다.
로우패스필터나 하이쉘프필터로 사운드의 밝기를 레퍼런스 음향과 비슷하게 제어한다.
Q : 전체 사운드를 EQing후 어느 위치에서 어느 악기소리가 튀어나올 경우 어떻게 하는게 좋은가?
A : 이런경우 다이나믹 이큐를 사용하여 해당 주파수를 찾고 적당한 다이나믹의 역치를 설정하여 제어하면 제어가 가능하다.
전체 사운드에서 지속성있는 불필요한 사운드의 주파수를 찾고 적절히 제어한다.
제어해야 할 사운드가 시간상으로 국부적인 경우 다이나믹EQ로 주파수를 찾고 역치를 설정하는 등 적절히 제어한다.
주로 15KHz 이상의 대역이다.
사운드의 투명도, 얼마나 사운드가 맑은가?를 듣는다.
레퍼런스 음원이 CD에서 추출한 Wave일 경우 16bit Resolution이므로 24bit 이상의 환경에서 마스터링을 할 경우(대부분의 경우) 그 레퍼런스 음원보다 조금 밝게 EQing을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16bit에 비해 24bit은 사운드의 풍성함이 더 표현이 되는 것이 정상이므로 레퍼런스 음원보다는 더 풍성한 사운드로 EQing 하는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레퍼런스 음원보다 더 풍성하고 더 맑은 사운드를 지향해야 한다.
이 표는 F0이 440Hz인 고조파 복합 톤을 나타낸다.
A , 시간 파형.
B , 동일한 파형의 전력 스펙트럼.
C , 청각 필터 뱅크,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필터링을 나타낸다.
D , 여기 패턴 또는 청각 필터의 시간 평균 출력.
E , F0 및 4 차 고조파를 중심으로하는 필터를 포함한 필터 뱅크 출력의 샘플 시간 파형, 분해 된 고조파를 보여주고, 컴플렉스의 8 번째 및 12 번째 고조파를 중심으로하는 필터, 덜 잘 분해되고 표시되는 고조파를 보여준다. F0에 해당하는 속도로 진폭 변조.
우리가 F0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논쟁은 19 세기 중반에 발생했다. 톤이 동일한 음조를 유지한다는 것은 20 세기 중반에 확고하게 확립되었다. F0의 모든 에너지가 제거되거나 잡음에 의해 가려 지더라도 나타나는 “누락 기본음 피치”현상은 피치 인지에 대한 중요한 생리적 상관 관계이다. 지각 적 관점에서 가장 낮은 고조파 구성 요소를 제거하거나 마스킹 (폐쇄) 한 후에도 사운드의 피치가 일정하게 유지(인지)되므로 어수선한 음향 환경에서 음원의 지각 불변성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셈이다.
필터로 잘 정리한 작은 수의 하모닉스 사운드가 필터로 정리하지 않은 많은 수의 하모닉스 사운드 보다 훨씬 더 두드러지고, 견고하며, 정확한 음조를 이끌어 낸다.
컴프레서와 익스팬더의 기능이 다수의 밴드로 구성되어있는 구조로 기준의 이큐와 다이나믹프로세서를 결합한 형태이다. 국부적인 EQing에 매우 효과적인 프로세서이다.
마스터링에 많이 사용되는 브레인웍스의 마스터링 이큐의 경우 과거버전에서는 디에서가 있었는데 버전3 부터 1밴드 다이나믹 이큐로 변경하여 제작되 어 사용성이 좋아졌다.
Waves의 F6 Dynamic EQ 등 다양한 프로세서가 출시되고있다.
주의사항으로는 드레숄드나 어택과 릴리즈를 잘 사용하여 제어해야한다는 것이다.
복잡한 톤 내 고조파의 상대적 진폭은 사운드의 음질 또는 음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한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필자의 경우 Attack은 20ms, Relese는 200ms, Ratio는 2:1 기준으로 마스터링 컴프레서의 조절을 시작하곤 한다.
위상과 관련하여 사람은 두 귀에 소리가 도착하는 시간의 미세한 차이를 10μs까지인지한다.
경우에 따라 스테레오에서 위상제어 시 물리적 음압레벨이 감소하여 조금의 레벨업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것은 모노 사운드의 위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전통적으로 톤과 다이나믹 프로세싱 등은 모노 또는 스테레오로 작업했었다. 이 방법은 음원의 모노 / 스테레오 모든 신호에 영향을 주었다. 1934 년 Alan Blumlein이 특허를 받은 마이크 기술에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뇌가 스테레오 이미지를 인지하는 방식을 재현한 방식이다. Mid / Side는 원래 스테레오 재생이 존재하기 전에 '공간'을 향상시키는 녹음 기술로 사용되었다.
현재의 스테레오 음원 마스터링은 Stereo, Dual Mono, Mid-Side 이렇게 세가지 모드에서 프로세싱을 하고있다.
스테레오 파일에서 모노 성분과 스테레오 성분을 분리하여 음향제어를 방법이다. Mid는 환전한 모노, Side는 모노가 아닌 나머지를 의미한다.
실내 음향 및 잔향에 의해 생성 된 위상 왜곡은 복잡한 톤의 파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해결되지 않은 고조파의 표현에는 영향을 주지만 해결 된 고조파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해결되지 않은 고조파는 간섭에 더 취약 해진다. 그러므로 마스터링을 위한 공간의 룸 어쿠스틱 환경은 마스터링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청각에는 특히 모든 종류의 경고 신호에 대한 경고 기능이 있다. 소리의 시작에만 반응하는 뇌 세포와 소리를 끄는 것, 즉 변화에만 반응하는 뇌 세포가 있다. 에어컨이 켜질 때만 에어컨이 설치된 방에 있다고 생각해보자. 잠시 후 배경에 혼합되고 무시된다. 스위치가 꺼지면 잠시 동안 다시 한 번 알아 차린 다음 사운드가 없어도 배경에 혼합된다. 이 세포들은 귀가 청각 적 변화에 반응 할 수있게한다. 하나는 일정한 소리에 적응한다. 변화는 즉시 눈에 띄게된다. 이것은 기계와 숙련된 귀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마스터링시 장시간 귀를 피로하게 하지 않도록 쉬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은 자세이다.
댄스, 재즈, 팝 등 꼭 유사하지 않은 장르의 음원이라도 다양하게 모니터링하여 미디어의 표준(?) 밝기와 두께나 밀도와 질감 그리고 음량에 근접하도록 작업하는 것이 좋다. 유통되는 다른 곡들과의 편차가 심하지 않도록 제작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작가 또는 디렉터의 요구에 의해서 그 밝기나 음량등은 기준 없이 정해는 경우도 있다.
마스터링이란 음악을 음향기술로 더 음악답게 만드는 과정이기도하다.
일반적으로 멀티트랙 환경에서 녹음을 하고 믹스를 한 후 2채널 또는 서라운드로 믹스 마스터를 만들고 이것으로 마스터링을 한다.
조건 | AAD | ADD | DAD | DDD |
멀티트랙 믹스 | Analog | Analog | Digital | Digital |
믹스 마스터 | Analog | Digital | Analog | Digital |
마스터링 마스터 | Digital | Digital | Digital | Digital |
아나로그 환경에서 시작된 녹음 과정은 디지털까지 이르고있다. 녹음 시스템의 발전으로 인해 녹음 과정에 대한 미디어 조건을 명시하기 시작했다.
믹스 작업 중인 DAW의 마스터 인서트를 활용하거나 다른 마스터링 DAW를 활용하여 마스터링 하는 경우가 일반적일 것이다.
Zwicker를 비롯한 심리음향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음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음질 인자들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각 음질 인자의 모델링 작업은 지금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라우드니스는 음질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러프니스, 샤프니스, 변동강도 등의 속성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인자이다. Zwicker는 음질 인자의 주파수 분석 단위인 임계대역(Critical Band)을 기본으로 하는 라우드니스 측정 모델을 제안하였고 Zwicker가 제안한 음량 레벨 계산 방법은 ISO 532B에 표준화되어 라우드니스 측정에 이용되고있다.
Zwicker가 제안한 음량 레벨 계산 방법은 그래픽 이퀄라이저 구조로 만들어진 레벨미터라고 생각하면 그 원리의 이해가 쉽다. 요즘 우리가 쉽게 접하는 스펙트럼 아날라이저와 흡사하며 초기 멀티밴드 미터의 근간이 된 구조이다.
1900년 후반 부터 청각특성을 고려한 시간-주파수 해석방법 및 B. C. Moor와 B. R. Glasberg의 라우드니스 계산 모델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초기의 디지털 미터 기준은 -12dBFs 근처에서 사용했는데 당시 아나로그 믹서의 헤드룸이 +12dBu ~ +24dBu였기 때문에 디지털의 최대 음량 레벨인 0dBFs 밑으로 헤드룸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의 믹스 마스터로 주로 사용한 DAT(Digital Tape Recorder)는 16bit였기 때문에 -24dBFs를 기준으로 삼기 어려웠다.
그러나 지금은 녹음과 믹스 환경과 마스터링 환경에서 24bit가 넘는 다이나믹레인지를 사용하므로 아나로그때와 같이 24dB의 헤드룸 확보가 가능해졌다.
최근의 오디오 레벨링 규격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품질을 위해 방송사 대상 디지털 방송 음향레벨을 관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의 음량 측정기는 다양한 측정 척도를 사용하여 인지된 음량 수준을 숫자로 표현할 수있는 특수 가중치 필터링 및 평균화 기술을 사용하여 신호 음량을 측정한다.
• LU = Loudness Units
• LUFS = Loudness Units relative to Full Scale
• LKFS =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
• dBFS = Decibels relative to Full Scale
• dBTP = Decibels True Peak
사람이 인식하는 오디오 레벨을 라우드니스라고 한다. 방송에서는 프로그램 간 오디오 레벨이 비슷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청취자는 모든 노래, 영화 장면, 상업 광고 마다 음량이 다르게 재생될 때 볼륨을 일일이 조정하며 시청해야 한다.
라우드니스 미터링은 인지된 라우드니스 레벨을 숫자로 표현할 수있는 특수 가중치 필터링 및 평균화 기술을 사용하여 라우드니스를 측정한다.
이것은 방송국 또는 네트워크 규정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방송사에서 특정 프로그램 또는 광고의 음량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허용되는 라우드니스 레벨을 입법화하고 방송 당국이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이러한 지침을 위반하는 방송사에게 벌금을 부과 할 권한이 부여되었다.
방송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계약자에게 음량 사양을 제공하고 있다.
포스트 프로덕션 및 믹싱 시설 등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사양에 따라 프로그램 음량을 측정하는 특정 장치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심리음량의 상대적 단위로 dBLU로 표시한다.
0LU = -23LUFS
EBU 에서는 -23LUFS 를 0LU 로 표기 하는것을 권장한다.
LUFS 알고리즘은 ITU-R BS.1770에 나오는 라우드니스 측정 알고리즘으로 유럽방송연합(European Broadcasting Union, EBU)의 R-128규격이다. 일반적인 레벨미터와 달리 음량 측정 범위, 트루 피크를 측정할 수 있다. ITU에서는 LKFS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EBU에서 LUFS라는 부르는 것을 제안하였고 LKFS와 LUFS는 동일하다.
EBU R128에서는 소리 크기를 -23 LUFS (Tolerance : ±1 LU)로 맞추도록 제시하고있다.
심리적 음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K-filter를 사용하여 RMS 값을 구하고 dBFS로 표시해주는 규격으로 단위는 LUFS나 LU로 표시한다.
규격 | 기준 레벨 | 규격 간 레벨 차이 | 오차 허용 범위 |
EBU R 128 | -23LUFS | 0LU | ±1LU |
우리나라 | -24LUFS | -1LU | ±2LU |
Itunes | -16LUFS | 7LU | |
Tidal | -14LUFS | 9LU | |
Spotify | -14LUFS | 9LU | |
Youtube | -14LUFS | 9LU |
±1LU범위를 초과하면 규격 위반으로 본다.
오디오 프로그램 음량 및 트루 피크 오디오 레벨을 측정하는 알고리즘 규격이다.
국제 통신 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이 권장 사항은 현대의 음량 측정에서 필수이다. 이는 원래 사양이 특수 가중치 곡선(K 가중치)을 활용하고 LKFS 측정 단위 인 Loudness K-Weighted relative to Full Scale을 수용한 측정 지침을 만든 후 만든 2 세대 개정판이다.
라우드니스 정규화 및 허용된 최대 오디오 신호 레벨 규격이다.
유럽 방송 연합 (European Broadcasting Union)의 이 권장 사항은 유럽 전역에서 표준 음량 관행으로 널리 수용되고 있다. EBU R 128은 ITU 권장 사항을 고려하고 이를 확장하여 다른 4개의 기술 문서에 설명 된 사양을 참조하는 지침 문서다.
EBU 사양은 음성 및 대화 소리가 특정 큰 구절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앞부분"소리를 소리 크기의 기초로 사용한다. 절대 및 상대 게이트가 있는 특수 게이팅 체계를 사용하여 배경 소리를 식별하고 포함하지 않는 Long Term 음량을 기준으로 한다.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오디오 음량을 설정하고 유지하기위한 기술이다.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의 이 권장 문서는 특히 디지털 TV와 관련하여 미국 방송 네트워크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 최신 개정판은 EBU 권장 사항에 접근하지만 Dialog를 음량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도록 하고있다. 대화 앵커를 사용하는 것은 토크 및 내레이션 기반 프로그램에 대해 매우 정확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액션 및 음악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더 나은 측정결과를 제공한다.
EBU R 128 표준 및 ITU-R BS.1770-2에 통합 된 모든 현재 사양에 따라 레벨을 측정한다.
음원 전체의 음량을 측정하고 평균한다.
소리가 감지 된 경우에만 라우드니스를 측정하고 평균한다.
곡 전체에 대한 다이내믹 레인지를 LU값으로 표시해준다. 최저 음량과 최대 음량 사이를 비율로 표시한다. 여기서 최저 음량 상위 10%와 최대 음량 상위 5%는 최종 분석에서 제외한다.
400ms(0.4초)를 가산평균하여 100ms마다 측정되는 최대 값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짧은 시간을 가산평균하여 매 초마다 표시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3초라고 입력했다면 3초를 가산평균하여 매 초마다 표시한다. 최소 최대값도 함께 표시되는 미터도 있다.
곡 전체의 음량을 가산 평균한 값을 표시하는 미터이다.
디지털 도메인에서 신호는 별도의 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샘플로 표현된다. 이로인해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때 디지털에서 사용 가능한 크기의 범위를 초과하는 신호로 바뀔 수 있다.
(녹색) 디지털 신호가 ±1 사이에 있는 동안 (파란색) 아날로그 신호는 이 범위를 초과한다. 아날로그 신호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면 이것은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불행히도 대부분의 D/A 컨버터는 낮은 공급 전압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필요한 헤드룸이 부족하다. 따라서 샘플 피크 미터가 이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신호가 잘릴 수 있다.
Intersample peak meter는 샘플 사이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도메인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클리핑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결과적으로 청취환경이 아나로그인 점을 감안하여 True peak를 활용하면 클리핑 및 왜곡 현상을 미리 볼 수 있어서 좋다.
실제 곡 또는 한 미디어의 LUFS Long Term 레벨 기준으로 곡간 레벨을 수정하여 송출한다. 그러므로 곡 전체의 평균 음압 제어는 미디어 출력 음량을 결정하는 요소가 되어간다.
Waves의 WLM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1. 라우드니스 요구 사항을 식별한다.
2. 프로그램 출력에 WLM 또는 WLM Plus를 인서트에 삽입한다.
3. 적절한 사전 설정을 선택한다.
4. 로그 파일을 생성하려면 CSV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한다.
5. WLM을 통해 프로그램을 재생한다.
6. 음량 측정을 보려면 미터를 주시한다.
음원 전체를 재생 한 후 Long Term 창을 확인하여 프로그램이 필요로하는 목표를 준수하는지 확인한다.
라우드니스 측정을 정규화하고 프로그램 자료가 트루 피크 레벨을 초과하지 않도록하려면 위에서 설명한 초기 측정 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WLM Plus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1. 트림 버튼을 클릭한다.
2. 재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3. True Peak Limiter를 활성화한다.
4. 로그 파일을 생성하려면 CSV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한다.
5. WLM Plus를 통해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재 측정한다.
공장기본값(Default) 프리셋
대부분의 경우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 결과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대한 EBU 및 ATSC 권장 사항을 모두 충족한다.
EBU R 128 18 dB 프리셋
EBU R 128 및 기술 3341 – 3343 및 ITU-R B.S를 포함한 관련 기술 문서에 지정된 권장 사항을 준수한다.
1770-2 "ATSC A85" 프리셋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지정한 권장 사항을 따른다.
계량 기록을 문서화하기 위해 EBU, LM1, DIAL의 분석 값을 동시에 문서화하는 CSV 로그 파일을 생성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CSV 파일을 Microsoft Office Excel 또는 Open Office Calc를 사용하여 스프레드 시트로 가져올 수 있다.
Real-Time CSV file 선택
실시간 오디오 스트림을 통해 지속적인 데이터 추출이 필요한 경우이 옵션을 선택한다. 곡을 재생하기 전 미리 CSV 로그 파일을 생성해야하며 측정 중에 실시간으로 문서에 기록된다. (리얼타임 환경에 권장)
Off-Line CSV file 선택
음원파일을 스캔하여 추출하려는 경우 이 옵션을 선택한다. 이 파일은 WLM 플러그인이 닫힌 경우에만 작성되며 최대 4 시간의 측정을 기록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간 로그 파일을 설정하는 것을 잊은 경우 해당 플러그인 인스턴스에서 수행 한 측정의 처음 4 시간에 대한 음량 정보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CSV를 저장할 수 있다. (Audiosuite등 넌 리얼타임 프로세싱에 권장)
Warnings : 음량 목표가 충족되지 않거나 초과되면 경고표시를 한다.
Short Term Min : Short Term 음량이 최소값 아래로 떨어지면 5 초 동안 음량이 최소값 위로 돌아올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연한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이 경고는 Unders 카운터와 CSV 로그 파일에도 등록된다.
Short Term Max : Short Term 음량이 최대 값을 초과하면 5 초 동안 음량이 최대 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빨간색으로 나타난다. 이 경고는 Overs 카운터와 CSV 로그 파일에도 등록된다.
True Peak Max : True Peak 라우드니스가 최대 값을 초과하면 피크 홀드 숫자 디스플레이가 재설정 될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빨간색으로 나타난다.
Automation Warning : Short Term 숫자 디스플레이 아래의 카운터에 오버와 언더를 표시한다. 이러한 분석이 언제 발생했는지 알고 싶다면 로그를 참조하거나 자동화 경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ITU 1770-3을 준수하는 True Peak Limiter를 활성화 한다. 임계 값은 "설정 패널"에 있는 "True Peak Max"값에 의해 자동으로 정의된다. True Peak Limiter는 "채널"설정과 무관하며 모든 채널에 영향을준다. 리미터는 메이크업 게인을 도입하지 않았다.
기준(표준) 레벨과 Long Term 라우드니스 측정 간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Trim"을 클릭하면 계산 된 값이 Gain Fader에 적용된다. 이 기능은 재생 중이 아니라 측정을 완료 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트림은 최대 12dB까지 게인을 높이고 사용 가능한 최대 범위만큼 게인을 줄일 수 있다. "트림"이 적용된 후에는 새로운 Long Term 측정이 계산 될 때까지 컨트롤을 사용할 수 없다.
LM1 및 다이얼 모드에서 Short Term 측정 기간을 결정한다. (EBU 모드에서는 지속 시간이 3 초로 고정된다.)
최대 Short Term 레벨을 결정한다. Short Term 음량이 최대 값을 초과하면 5 초 동안 음량이 최대 값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빨간색으로 나타난다.
최소 Short Term 레벨을 결정한다. Short Term 음량이 최소값 아래로 떨어지면 5 초 동안 음량이 최소값 위로 돌아올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연한 파란색으로 나타난다.
최대 True Peak 레벨을 결정한다. True Peak 라우드니스가 최대 값을 초과하면 피크 홀드 숫자 디스플레이가 재설정 될 때까지 디스플레이가 빨간색으로 나타난다. 이 컨트롤은 WLM Plus 구성 요소에서 True Peak Limiter의 임계 값도 정의한다.
Momentary 바 미터에 표시되는 스케일을 결정한다.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싱에서는 각 샘플이 유한한 정밀도로 반올림되어야 하기 때문에 원래 아날로그 신호와 항상 차이가 있다. CD-A에 16비트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65,536단계의 정밀도를 가지고있다.
레코딩과 믹스시 24비트 또는 32비트의 높은 비율을 사용하여 편집 단계에서 발생하는 라운딩에러(Round-off Error)를 최소화 해야한다.
라운딩 에러; 반올림 에러; Round-off Error
양자화 오류의 한 형태로 무한한 숫자를 유한한 숫자로 만들기 위해 어떤 자릿수에서 반올림 할 때 발생하는 반올림 오류이다.
CD 마스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16비트로 변환해야 한다. 이때 발생하는 반올림 오류는 특히 조용한 부분에서 청각적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디더링은 이 문제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16비트로 반올림하기 전에 신호에 조금의 노이즈를 추가하여 반올림 오차의 통계 분포를 교란시키면 덜 불편하게 인식된다.
노이즈의 양을 정하는 항목이며 선택한 노이즈 쉐이핑으로 필터링되어 대부분의 스펙트럼을 사람의 귀로 인식하지 못하는 주파수에 배치된다.
디더링 후 디더링을 할 경우 노이즈 레벨이 증가되기 때문에 디더링은 오디오 체인의 맨 끝에서 한 번만 수행해야 한다.
CD를 굽거나 DDP 이미지 또는 오디오 파일을 내보내는 마지막에 단계에 디더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DitherEnabled
디더링 온오프
No Dither When Signal Already Truncated
페이드 또는 플러그인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가 없는 경우 디더 노이즈가 추가되지 않는다.
No dither during silence
이 옵션이 활성화되면 신호가 절대 무음 인 경우 디더링이 사용되지 않는다.
CD-A는 레드북에 명시되어 있다. 이 표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CD와 DDP를 만들어야 한다.
CD-A에는 최대 79 분 48 초, 99개의 트랙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각 트랙의 최소 길이는 4 초이다. 대부분의 경우 트랙 사이에 무음이 있다. 일시 정지없이 트랙을 변경할 수도 있다. 두 트랙 사이의 일시 중지는 프리 갭이라고 한다. 무음 공간을 오디오로 채울 수도 있다. CD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0으로 내려가는 pregap 동안의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트랙 내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는 데 사용할 수있는 하위 인덱스 마커가 있다. 이러한 마커는 모든 CD 플레이어에서 지원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표시는 가능하지만 하위 인덱스로 직접 이동할 수는 없다.
Pregaps 및 하위 인덱스 마커는 선택 사항이며 CD에서 꼭 사용할 필요는 없다.
오디오 데이터는 항상 16 비트의 44.1 kHz 샘플로 저장된다. CD에서는 프레임이라고 하는 588개의 샘플 블록으로 그룹화되어있다. 한 프레임은 1/75 초의 재생 시간과 같다.
트랙 시작, 트랙 끝 및 하위 인덱스에 대한 마커는 항상 프레임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두 마커 사이의 최소 거리는 1 프레임 = 1/75 초이다.
최대 79 분 48 초를 기록하려면 고용량 공 CD가 필요하며 CD 라이터가 이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지원되는 최대 길이는 프레스 공장에 문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길이의 CD가 모든 CD 플레이어에서 재생 될 수 있다고 보장 할 수 없다.
DDP * (Disc Description Protocol)는 CD의 내용을 설명하는 파일 규격이다. 마스터링 스튜디오에서 CD 프레스 공장까지 DDP 이미지를 사용하면 CD-R 및 CD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최종 CD를 무손실로 전송할 수 있다.
DDP 이미지는 단일 파일이 아니라 폴더구조로 되어있다. 이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은 DDP 이미지에 속하며 항상 이 조합으로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DDP 이미지 폴더는 다음 파일로 구성된다.
DDPID | DDP 이미지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DDPMS | 이 DDP 이미지에 속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
PQDESCR** | 트랙, UPC / EAN 및 ISR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
IMAGE.DAT** |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파일은 매우 클 수 있으며 여러 파일로 분할 될 수 있다. |
CDTEXT.BIN** | 선택 사항이며 모든 CD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
Hofa의 경우 다음 두가지를 추가 할 수 있다.
MD5_CHECKSUM.MD5*** | MD5 체크섬이 포함 된 텍스트 파일로 DDP 이미지의 파일이 수정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PQ-Sheet.pdf*** | CD의 트랙 목록 (PQ-Sheet)이 포함 된 PDF 문서이다. |
Hofa의 경우 DDP 2.00 형식으로 DDP 이미지를 생성하며 DDP 2.00 또는 DDP 1.xx 형식의 DDP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다.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는 CD의 트랙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이다. 라디오에서 트랙을 재생할 때 이 코드를 사용하여 라이센스 비용을 관리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코드는 모든 상용 CD에서 사용할 수 있다.(비 상업용 용도로 사용할 수 없다.)
ISRC는 두 글자와 10 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 국가 코드 (2 자), e. 지. DE for Germany (Deutschland) – 등록자 코드 (3 자리)
– 연도 (2 자리)
– 지정 코드 (5 자리)
ISRC코드는 등록 관리자가 발급한다. 노래의 특정 녹음에 속하는 코드이므로 리믹스 등의 경우 새 코드를 받아야한다.
유럽에서 사용되는 UPC(Universal Product Code) 또는 EAN(European Article Number)은 모든 제품의 패키지에서 찾을 수 있는 바코드 아래에 표시된 번호다. 자동 식별을 위해 이 번호를 CD 데이터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코드는 12 (UPC) 또는 13 (EAN) 숫자로 된 숫자이다.
12 자리 UPC를 입력 할 때 CD 및 DDP 이미지에 필수이므로 앞에 오는 0이 자동으로 추가되어 13 자리 숫자가된다.
이 코드는 제품으로서 전체 앨범에 대해서만 유효하므로 CD 또는 DDP 이미지 제작시에만 사용된다. 단일 오디오 파일로의 트랙 내보내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CD-Text는 CD 플레이어에서 지원하는 레드북 표준의 확장이다. 컴퓨터에서 CD를 재생할 때 모든 소프트웨어 플레이어가 CD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종종 타이틀 정보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되며 CD 자체에 저장된 정보와 다를 수 있다. Windows Media Player * 및 Apple iTunes **는 CD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를 가능하게하는 무료 확장 프로그램과 다른 플레이어가 있다.
윈도우즈의 경우 : VLCMediaPlayer, Winamp, Extension for Windows MediaPlayer
맥의 경우 : Extension for iTunes, drutil...
CD-Text는 전체 앨범 및 각 트랙에 대해 Title, Artist/Performer, Songwriter, Composer, Arranger, Additionalmessage와 전체 앨범의 장르를 지정할 수 있다.
Sony에서 정의한 CD-Text 표준은 서유럽 언어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문자를 포함하는 ISO 8859-1 문자 인코딩을 사용한다. 폴란드어 또는 터키어와 같은 동유럽 언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문자가 누락되는 등 불행히도 모든 언어를 사용할 수 없다. CD 텍스트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 만 입력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D-Text에 저장된 타이틀은 종종 매우 제한된 CD-플레이어 또는 카스테레오 디스플레이어에만 표시되며, 이러한 장치의 대부분은 특수 문자를 전혀 표시하지 못한다. 따라서 특수 문자를 모두 피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독일어 "ä"를 동등한 "ae"로 대체)
프로젝트 설정에서 "CD-텍스트 언어"를 "일본어 (Shift-JIS)"로 전환하면 Shift-JIS 문자 인코딩을 사용하여 저장된 일본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유럽 특수 문자가 포함되지 않아 다른 언어와의 혼용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모든 CD 플레이어가 일본어를 표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레드북 표준(red book standard requires)은 일반적으로 트랙 1 이전에 2 초의 프리갭(pre gap)을 요구한다. 이 프리 갭은 더 길게 만들 수도 있고 오디오 자료를 포함 할 수도 있다. CD 플레이어는 항상 트랙 1의 시작 부분에서 재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 영역은 소위 "숨겨진 트랙"을 숨기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프로젝트 설정에서 "숨겨진 트랙 허용"을 활성화하면 "숨겨진 트랙"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프레스 공장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는지 그리고 CD 또는 DDP 이미지를 올바르게 처리 할 수 있는지 문의해야하며 일부 CD 플레이어는 이 "숨겨진 트랙"을 재생할 수 없다.
곡의 시작 부분에 약 200~300ms의 여유를 두어야 한다. 씨디 플레이어나 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재생 오차를 염두에 두고 곡이 짤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1] www.thomann.de/gr/onlineexpert_page_compressors_dynamic_range.html
[2] www.jneurosci.org/content/37/5/1284
[3] www.jneurosci.org/content/32/39/13335
[6] Seebeck, 1841 ; Ohm, 1843 ; Helmholtz, 1885/1954
[7] Schuten, 1940 ; Licklider, 1954
[8] Plack et al., 2005 ; Griffiths and Hall, 2012 ; Wang and Walker, 2012
[10] www.jneurosci.org/content/32/39/13335
[11] Qin and Oxenham, 2005 ; Sayles and 2008 년 겨울
[12] Houtsma and Smurzynski, 1990 ; Carlyon, 1996 ; Bernstein and Oxenham, 2003 ; Micheyl et al., 2010
[13] Houtsma and Smurzynski, 1990; Carlyon, 1996; Bernstein and Oxenham, 2003; Micheyl et al., 2010
[14] www.who.int/occupational_health/publications/noise2.pdf
[15] archive.digidesign.com/compato/osx/mlcd/
[16] archive.soundrecordingtechnology.com/services/restoration.htm
[17] hofa_cd_burn_ddp_master_app_manual_en.pdf
[18] www.izotope.com/en/learn/what-is-midside-processing.html
[19] 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011921105784.pdf
Modern Mastering CM by vickynampi on Scribd
GTPS Bass Ultimate Guide eBook by Pete Bilo on Scribd
Rob Williams - Mastering EQ... by scorgie on Scribd
Mastering Cheat Sheet by Doctor Funk on Scribd
원격 협업 (0) | 2019.10.20 |
---|---|
전기와 음향 (0) | 2019.10.20 |
임계대역 [Critical Band] (0) | 2019.10.13 |
청각기관 (0) | 2019.10.13 |
위상 [Phase] (0) | 2019.09.29 |
댓글 영역